한국사회학회는
사회학의 학문적 발전과 교류의 장을 열어갑니다.

학회지 Vol.56 No.2

1 불평등은 언제부터 발생하는가 : 초기 아동기 인지능력 발달에서 나타나는 가족배경 격차 추세

임영신, 최성수

  

2022. 05.

초기 아동기, 교육 불평등, 인지능력, 초기 아동기 교육 및 보육 기관(ECEC), 학교 효과, 성장곡선모형, 한국아동패널

교육 불평등 연구의 최근 중심 화두는 본격적으로 학교 교육이 시작되기 이전 초기 아동기의 중요성이다. 국제적인 연구 축적 흐름과 비교해 한국에서의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수준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인지능력에 있어 가족배경에 따른 격차가 생애 어느 시점부터 발생하는지, 취학 전 교·보육 기관과 학교는 이렇게 드러나는 격차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봤다. 2008년에 출생한 아동을 표집하여 출생 순간부터 10세(초등학교 4학년)까지 추적하고 있는 전국 대표성 있는 패널 데이터인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해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크게 다섯 가지 주요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첫째, 가족배경에 따른 인지능력 격차는 3세 이전에 발생한다. 둘째, 취학 이전 3~7세 기간 동안 인지능력의 가족배경에 따른 격차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 셋째, 아동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간 이후에는 불평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근거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는다. 넷째, 초기 아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가족배경 격차가 존재하더라도 가족배경을 포함하여 관측할 수 있는 특성이 설명하는 인지능력의 변이는 20퍼센트 정도에 불과하다. 다섯째, 3~7세 기간에 발생하고 증가하는 가족배경 격차를 설명하는데 있어 이 기간에 아동이 다닌 교·보육 기관의 역할은 제한적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에서도 취학 전 가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아동기 불평등이 교육 불평등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동시에 불평등이 생애 초기에 고착된다는 결정론적 해석은 적절치 않다는 점도 함께 시사한다.

2 청년들은 소득불평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 사회계층 인식과 능력주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희정

  

2022. 05.

청년, 소득불평등 인식, 주관적 계층인식, 능력주의 인식

본 연구는 한국사회 청년들이 소득불평등 현실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정당화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소득불평등 인식의 사회계층지위 속성과 이데올로기 속성을 분석한다. 특히 청년들의 능력주의 인식에 주목하고 능력주의 인식을 능력주의적 요소와 비능력주의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총체적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능력주의 인식이 소득불평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사회계층지위별로 탐색한다. ‘2018년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자료를 기술적 분석과 로짓분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불평등 인식이 청년집단 내부에서 분화되고 다소 이질적이다. 주관적 계층인식이나 능력주의 믿음에 따라 소득불평등 인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둘째, 청년들의 능력주의 인식이 다양하다. 대체로 인생의 성공요인으로 비능력주의적 요소를 능력주의적 요소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파악된다. 능력주의 인식을 두 요소를 종합하여 파악할 경우 능력주의 믿음이 강하다고 분류되는 청년 비율이 크게 하락한다. 비능력주의적 요소를 더 중요하다고 여기는 청년도 상당수 포착된다. 마지막으로 모든 계층에서 능력주의 인식이 소득불평등 정당화 기제로 기능한다. 인생의 성공요인으로 비능력주의적 요소보다 능력주의적 요소를 더 중요하다고 생각할 경우 소득불평등을 심각하다고 인식할 확률이 하락한다. 소득불평등이 심화되고 능력주의가 강조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청년들의 불평등 인식에 대한 심층 분석이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3 여성 관리자의 가치위협과 조직의 젠더 불평등

엄승미, 김영미

  

2022. 05.

여성 관리자, 젠더 불평등, 가치위협, 편애위협, 집합위협, 팀 여성비율, 조직적 맥락

이 연구는 여성 관리자가 조직의 젠더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국내 기업 사례연구이다. 한 국내 대기업의 일반 사무직, 현장직 근로자들의 인사자료(2010~2018)를 활용하였으며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관리자의 성별이 여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할 때 사례기업에서 여성은 직속상사가 여성인 경우 임금에 부정적 영향을 받았으며, 여성 관리자의 부정적 영향은 여성 지배적 팀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 가치위협이론에 기반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가치위협은 조직 내 지위와 사회적 지위가 불일치하는 여성 관리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지위불안을 의미한다. 여성 관리자들은 가치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내집단에 우호적이기보다 경계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 연구는 한국 기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가치위협이론에 정합적인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여성 관리자의 부정적 영향이 여성비율이 높은 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점을 발견함으로써 가치위협의 맥락적 조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 관리자 주변화, 성별 다양성이 낮은 팀 구성, 여성지배적 팀에 여성 관리자를 배치하는 인사 관행이 지속될 경우 여성 관리자가 여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음을 함의한다.

4 The Rise of Pacific Powers in the 19th Century Capitalist World-System and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Sung Hee Ru

  

2022. 05.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the 19th century, Pacific powers, the world- systems analysis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roles of Pacific powers in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So far,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into the modern world-system has been interpretation as being controlled by European powers. However, this is only one aspect of the relationship in the modern world-system in the 19th century. To delve into the 19th century China’s unprecedented juncture led by the expansion of the capitalist world economy, I highlight the roles of Pacific powers like Russi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that end, I show how the Pacific powers newly emerged in the 19th century and investigate how each Pacific power influenced China’s incorporation process during the long 19th century.

5 감각과 사물을 매개로 기울어진 사회를 서술하는 법

성한아

  

2022. 5.

『감각과 사물 – 한국 사회를 읽는 새로운 코드』에 대한 서평 김은성. 2022. 갈무리.